본문 바로가기

물리 역학의 세계

기하학적 측지학이란 무엇인가?

기하학적 측지학

 

기하대지 측량학, 즉 천문대지 측량학은 그 기본입니다.

지구의 모양과 크기 및 지상점의 기하학적 위치를 정해야 합니다.

고전적인 측량학의 주요 분기점입니다.

지구의 모양과 크기, 지상의 점 기하학적 위치를 기하학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지구 외형과 가장 가까운 회전타구로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며, 천문대지의 측정방법으로 이 타구의 모양과 크기를 측정하고,

그 표면을 참고면으로 삼아 대지의 수평면을 연구·측정하여 대지좌표계와 지점의 기하학적 위치를 추정합니다.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지구의 모양과 크기 및 지상의 점을 측정하다어떤 위치의 학과를 천문지측량학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고전적인 측량학의 주요 분기점입니다.

지구의 모양과 크기, 지상의 점 기하학적 위치를 기하학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과입니다.

지구 외형과 가장 가까운 회전타구로 지구의 형상을 나타내며, 천문대지의 측정방법으로 이 타구의 모양과 크기를 측정하고, 

그 표면을 참고면으로 삼아 대지의 수평면을 연구·측정하여 대지좌표계와 지점의 기하학적 위치를 추정합니다.


지면점의 기하학적 위치 측정은 수평 제어 측정과 고정밀 제어를 포함합니다.

두 부분을 제작하여 측정합니다. 

수평 제어 측정의 기본 방법은 삼각 측량, 모서리 측량, 도선이 있습니다.

측정 등 고거리 제어 측정 방법으로는 수평 측정과 삼각고거리 측정 등이 있습니다.

각각 한 국가의 수준과 고도의 제어망을 구축하는 데 사용됩니다.


광범위한 지상에 국가 대지 통제망을 세우고, 지구를 측정하는 연구를 하였습니다.

형상, 크기 및 중력장의 이론, 기술 및 방법의 과학입니다.

측량학과 지구물리학서로 교차하는 학과이며, 지구와 공간별을 측량 대상으로 합니다.

 


17세기 이전에는 단지 대지 측량이 싹트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구 모양에 대한 인류의 인식은 상당히 파격적이었습니다.

아이뉴턴 (I.Newt)온(on, 1642~1727)이 1687년 만유인력 법칙을 발표한 뒤 네덜란드의 호이겐스(C. Huygens, 1629~1695)는 1690년 저서 '논중력 원인'에서 지구 표면의 중력치가 적도에서 2단으로 커진다는 법칙에 따라 지구의 외형이 양극으로 약간 납작하다는 논문을 내놓았습니다.

 

1743년 프랑스의 클렐로는 지구모양 이론을 발표해 클렐로의 법칙을 제시했습니다.

호이겐스와 클렐로의 연구는 물리학적 관점에서 지구의 형상을 연구하는 이론을 정립하였습니다.

이어서 망원경, 마이크로미터, 수평기 등이 발명되어 측정기기의 정밀도가 크게 향상되어 대지측량학이 발전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가 마련되었습니다.

따라서 대지측량학은 17세기 말엽에 형성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20세기 중엽이 되면, 기하학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측량학과 물리적 대지측량학은 이미 모두 발전하였습니다.

보완의 정도인 것입니다. 그러나 천문대지 측정은 육지에서만 실시돼 바다를 건널 수 없고, 중력 측정은 해양과 고산, 사막지역에서도 소량의 자료만 나와 지구 모양과 지구 중력장에 대한 측정은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지 못했습니다.

1957년 최초의 인공지구위성 발사가 성공한 뒤 위성대지측정학이 생겨나 비로소 새로운 단계로 발전했습니다.

인공위성이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위성법을 이용해 지구 타구의 편율을 정밀하게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많은 나라들이 지상에 건설되어 있습니다.

위성 추적 스테이션을 세워 전 지구 좌표계를 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또 위성레이더로 해양대지의 수평면 기복을 측정한 것도 좋은 성과를 거뒀고, 달과 행성으로 발사되는 우주선을 이용해 달과 행성의 간단한 기하학적 제원과 물리학적 측정에 성공했습니다.

위성지측량학은 여전히 발전하고 있으며 잠재력이 매우 큽니다.

 

 

대지측량학의 주요 연구내용


①일반지측량학

삼각측량, 도선측량, 수평측량, 천문측량, 중력측량, 관성측정을 포함한다양, 타구면 대지측정, 지구형상이론 및 측량평차계산 입닌다.

 

② 위성대지측정학

지상에서 우주공간을 측정하는 인공위성의 위치를 채취하는 방법으로, 위성대지측정기하법으로 위성대지망을 구축하여 국가기본통제망의 한 단계 높은 제어망으로 사용하거나, 직접 전세계 위성대지망을 구축하여 측량소 지점의 대지좌표를 구하고, 위성대지측정동력법으로 고정되고 시시각각 변하는 지구중력장의 파라미터를 추구하여 지구의 모양과 크기, 대지의 수평면을 정하는 대지측정학의 문제입니다.

격차, 중력 이상, 수직선 편차, 지심 좌표 등이다.넓은 시야, 넓은 복개면, 빠른 속도, 높은 정밀도, 대기절광 및 수직선 편차의 영향을 적게 받아 전천후 관측 가능, 각 측정소 간에는 통시가 필요없고 변의 길이는 통시조건에 구애받지 않음, 전 지구적 특징일반 지심 좌표계 비활성화대지 측량 데이터의 이중성 국소성 입니다. 

 

전자 계산 기술 널리 쓰임.측량 평차 계산 및 대지 측량 계산 이후 대규모 데이터의 엄밀한 평차 계산 문제를 해결했을 뿐만 아니라 측량 계산 방법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과거에는 최소 2 곱셈의 평차에 따라 각 관측 데이터가 독립적이었으나, 이제는 평차에 의해 해당 데이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기하대지 측량학은 대지 측량학에서 성숙된 최초의 한 부분이다.지, 17세기와 18세기에 이미 현저한 진전이 있었습니다.
17세기 초, 측량 기구 연구의 진전과 삼각 측량법의출현하여, 기하학적 측량학의 발전을 위한 기술적 기초를 제공하였습니다. 

각국은 측정을 위해 정밀하게대지 측량이 절실히 요구되고 응용 측면에서도 기하학적 측량학의 발전을 촉진하고 있다.

 

 

원리


기하학적 측량은 하나의 회전 타구를 사용하여 지구의 형상을 나타냅니다.

기하학적인 방법으로 그 모양과 크기를 측정하고, 이 타구면을 참고로 대지수를 연구하고 측정합니다.

정확한 면, 그리고 대지의 좌표계를 만듭니다.
지구 타구의 모양과 크기는 그 편률과 긴 반축으로 표시됩니다.

지상점의 기하학적 위치는 대지의 좌표계에서 대지의 경도, 위도, 대지의 고도로 표시된다.지구형상을 측정하는 것은 대지의 수평면 형상을 측정하는 것으로, 대지의 수평면에서 타구면의 차이를 측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하학적 측정은 지상에서 서로 다른 두 종류의 관측값을 얻습니다.

천문관측치이며, 천문경도, 위도, 방위각을 포함하며, 다른 하나는 대지관측치 입니다.

수평각, 고도각, 수평거리와 고차.그러나 타구면에 대한 대지수준면의 차이와 지상점의 정고 또는 정상고도를 정하기 위해서는 중력치를 활용해야 합니다.

'물리 역학의 세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상수학이란 무엇인가?  (0) 2022.02.23
정지궤도란 무엇인가?  (0) 2022.02.21
성간항해란 무엇인가?  (0) 2022.02.19
항공우주 역학이란 무엇인가?  (0) 2022.02.15
양자역학이란 무엇인가?  (0) 2022.01.27